리플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 Blockchainers에서 강의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를 해보도록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lTOt2-YA_w4 에서 해당 강의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리플 핵심 기능



기능 1. 노드별 역할에 따른 기능


○ Ripple 노드가 할 수 있는 역할


1. Users : 유저로써 결제를 받거나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Market makers : Trade Enabler, 자산의 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역할로써 Gateway도 이 역할을 담당한다.


3. Validating servers :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내역 검증을 하기 위해 합의 프로토콜 실행하는 역할로써 비트코인같은 경우에는 Miner가 담당하는 부분이다.




기능 2. 결제 Path finding / Matchmaking System.


○ 결제하는 방법


1. XRP를 사용 : 거래를 암호학적으로 서명하여 실제로 토큰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2. XRP를 사용하지 않는 non-XRP : 하왈라 시스템이나 리플이 가고자 하는 방향과 비슷하다. 결제는 강요할 수 없으며 IOU/ 재매입 계약서를 기록하는 방식과 비슷해진다(분산 신용 시스템). - IOU는 기본 기축통화인 달러의 속도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한다. 


- 그렇다면 IOU란 무엇인가? IOU는 " I OWE YOU" 라는 발음을 약자로 일종의 빚을 진다는 뜻이다.



○ 위의 그림은 A가 B에게 $100를 non-XRP로 전송하는 그림이다. 위의 그림에서 Trust라고 되어있는 것은 신뢰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U1은 A에게 최대$250 만큼의 신뢰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신뢰 관계를 따라 가면서 거래가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A-> U1 -> U2 -> U4 -> B 의 순서로 송금이 이루어진다. 이 신용 최대 한도까지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U1 -> U3로 $100 전송은 불가능하다. 


○ 따라서 Ripple은 결국, 결제 Pathfinding / Matchmaking System이다. Trustline, 지불 경로는 시스템에서 즉각적으로 판단이 가능하여 거래 가능여부가 바로 결정된다.


○ 만약 신용라인이 최대한도에 달했다면 즉 위의 그림에서 A가 U1에게 이미 $250 만큼을 IOU한 상태라면 다른 네트워크에서 자유롭게 거래를 하지 못한다. (상실 제한 및 책임 한도)


○ 따라서 신뢰측면에서 항상 본인이 신뢰할만 하다고 판단하는 대상을 선택하여야 한다.


○ 내가 신뢰하지 않기로 결정한 대상 때문에 돈을 잃을 수는 없지만 내가 신뢰하는 대상에게서는 신뢰를 잃는 것이 가능하다.

이 말은 내가 신뢰하지 않는 사람이 나에게 100만원을 빌려달라 할 경우 돈을 빌려주지 않기 때문에 돈을 잃는 일은 없지만 신뢰하는 사람이 100만원 을 빌려달라고 하여 빌려주고 빌린사람이 갚지 않는 경우 나와 그 사람의 신뢰관계가 악화된다. 이것을 보면 실제 세상과 흡사한 구조같다.


○ 환전은 즉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 말은 환전을 하기위해서는 게이트웨이를 거쳐야 하는데 이 게이트 웨이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을 설정한다. 따라서 환전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의 설정을 받아들이면 환전이 가능하지만 받아 들이지 않으면 환전이 되지 않는다. 


○ 그렇다면 왜 굳이 XRP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다. 굳이 XRP를 사용하지 않아도 거래는 가능하지만 유동성 측면에서는 XRP가 도움이 된다. 전혀 연결이 없는 곳끼리 서로 환전을 하는 경우 XRP를 사용하면 실제 현물이 거래되기 때문에 이러한 XRP가 신뢰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거래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기능 3. 내가 가지고 있는 어떠한 가치를 원하는 어떠한 가치로 누구에게나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


○ 리플은 결국 거래하고자 하는 화폐에 대해 선택의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가치와 가치를 거래하고 가치의 종류는 본인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비트코인의 결제속도인 1시간에 비해 빠른 결제속도를 가지고 있다. 


○ 대다수 결제 input은 한 계좌로 제한된다(가명이지만 1인당 1계좌로 제한). 만약 신분을 숨기면 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이다. 

- 예를 들면, 만약 내가 가지고 있는 XRP를 USD로 환전을 하고 싶은 경우 은행의 Gateway를 거쳐야 한다고 할 경우 은행에서 나의 개인정보를 요구한다면 익명성 기능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결론. 탈중앙화가 아닌 중앙화 시스템.


○ 결론적으로 결국 Ripple은 중앙화이다. 

- 대다수 Validating 서버는 리플회사가 관리한다. 다른 사람이 운영하는 서버도 있으나 기본 목록에 있는 서버는 모두 리플 회사의 서버이다. 또한 이 Ripple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보안은 리플 회사의 책임이다. 즉, 탈중앙화가 아닌 중앙화 환경이라 볼 수 있다.



리플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 Blockchainers에서 강의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를 해보도록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lTOt2-YA_w4 에서 해당 강의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리플 핵심 개념



○ Ripplepay의 실패 원인


- 1. 아예 모르는 다른 유저와 나 사이 신용 라인이 생성이 불가능하다.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 네트워크에 지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고립되어 따로 노는 소규모 커뮤니티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 2. 소프트웨어 자체는 중앙화, 신용 라인과 잔고를 기록하는 장부는 여전히 중앙 통제됨



○ Ripple의 해결책


- 1. XRP. BTC와 흡사하게 주소에서 다른 주소로 송금 가능. 신뢰 네트워크 일원이 아니여도 송금이 가능하다. 환전은 내장되어 있는 탈중앙화 가치 교환 절차를 통해 가능. 가치 교환은 장부의 일부임


- 2. 게이트웨이. 희박한 유저 문제 해결. 일종의 허브로 서로 연결하여 기존 리플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모를 때 사용할 수 있고 신용 중개인 역할 맡는 상업 서비스 + 지인을 통해 연결하기 보다는 전문 상업 서비스로 연결되기를 선호할 때 사용. 사용자가 돈을 보낼 때 사용자와 받는 사람 사이 신뢰 체인의 첫 연결고리 및 돈을 받을 때 마지막 연결고리. 사용자는 동시에 다수 게이트웨이 신뢰 가능. 채굴장과 비슷한 탈중앙화 유지. 게이트웨이 자격 요건은 없음. 리플 프로토콜은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리지의 연결성 수용가능(현대 중앙 은행부터 P2P 체계까지). 초기에는 게이트웨이에 의존. 하지만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오리지널 리플 프로젝트의 P2P 구조로 변경



○ 특징 및 문제점


1. 게이트웨이 : 신뢰된 3자를 믿어야 하기에 채무불이행을 방지 가능한 방법이 없음 (Counterparty Risk). 암호학으로 신뢰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음


2. XRP : XRP는 스팸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수수료이고 거래시 Burn됨. 수수료가 없을 경우 사람들이 마구 거래를 진행하면 네트워크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Paypal과 동일하게 거래는 수수료를 요구함. Burn된 수수료를 통해 Ripple사가 보유한 XRP 가치가 상승. Ripple사가 발행인이기에 발행량/ 시기를 자유자재로 결정. 프로젝트 자금 제공을 위해 만들어 졌으나 개발자 신뢰 저하. 1000억개에서 시작, 이후 디플레이션


3. 합의 : 작업 증명이나 채굴 없이 합의가 이루어짐. 체인분할과 노드 Sybil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Unique Node List (UNL) 제공. 개인 노드가 Byzantine해서 이중지불을 시도하더라도 공모해서 다수 합의 이상을 보지 않을 노드. 이상적으로는 대기업, 다양한 커뮤니티 멤버, 게이트웨이와 다양한 비영리 단체가 이에 포함. 페북 함께 아는 친구와 동일. UNL이 연결되어 있는 이상 합의에 신속히 도달(BTC 확장성 및 거래 속도와 상반)

-> 8 개 이상 제공되지 않고 추가적 UNL은 없고 경제적 유인도 없음.



○ Ripple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질문


- 게이트웨이가 있다면 어떠한 가치도 거래 및 교환 가능 (USD, 10센트, 항공사 마일리지, BTC 등) = > 가치란 무엇인가?


- 리플이 강조하는 자유로운 자산의 유동성은 중요한가?


- 중앙화 -> 탈중앙화는 가능한가? 탈중앙화란 무엇인가? 사용자에게 이게 중요한가? 한번에 바뀌는가 점차 바뀌는가?


- 우리는 왜 암호화 화폐를 사용하는가? (자유, 프라이버시, 암호학이 보장하는 보안, 낮은 수수료, 국경을 초월, Trustless(비신뢰성), Censorship-free(검열에서 자유로움), Permissionless(비허가성) 등)





리플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 Blockchainers에서 강의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를 해보도록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2cvBwd-OIdw 에서 해당 강의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1) Ripplepay


○ 2004년 Ryan Fugger에 의해 개발된 하왈라 시스템이다.


- 하왈라 시스템은 아는사람의 아는사람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종의 무슬림 P2P네트워크이다. 위의 그림으로 설명한다. 파란선은 신뢰나 정보, 붉은선은 돈을 의미한다.


1 - A라는 사람이 다른 지역에 있는 B에게 돈을 송금하기 위해 X라는 중개인에게 돈을 주고 암호를 알려준다.

2a - A는 B에게 암호를 알려주고 중계인에게서 돈을 가져가라고 한다.

2b - 중계인 X는 해당 지역의 중계인 M에게 B라는 사람이 와서 해당 암호를 얘기하면 얼마를 내어주라고 전달한다.

3a - B는 M에게 가서 암호를 얘기하고 돈을 요구한다.

3b - M은 B에게 돈을 주고 장부에 기록한다. 나중에 X에게 돈을 받는다.


○  이 과정에서 거래 장부만 기록되지 실제 다른 지역에게 현물이 전달되지는 않는다.


○ 탈중앙화(내 지역사람만 믿으면 됨), 확장성 보장(사람이 더 늘어날 수록 확장됨), P2P 신뢰모델(작은 신뢰들이 쌓여서 큰 신뢰를 구축함)이다.


○ SNS처럼 사용자의 수에 따라 성공하는 모델이다.



(2) Ripple


○ Jed McCaleb(eDonkey, Mt.Gox, Stellar), Arthur Britto, David Schwartz, Chris Larsen 4명에 의해 주로 개발


○ 비트코인 같이 채굴에 의한 합의가 아닌 네트워크간 합의에 의한 화폐 시스템


○ 중앙 거래소 의존 감소, 전기 절약, 비트코인보다 빠른 거래속도가 장점이다.


○ RTXP, Ripple Labs, XRP 등으로 은행이 비트코인과 경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 및 전자 자산(비트코인과 비교해서 은행의 경쟁성이 너무 없어 보였다고 한다.)


- RTXP : Ripple Transaction Protocol

- Ripple Labs : 회사 이름

- XRP : RTXP 위의 토큰, 실제로 거래되는 화폐를 의미



○ 리플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 결제 스택(제일 위에 Application Layer부터 결제가 이루어지는 절차)이 너무 복잡


- 가치가 정보같이 이동할 수 있나?


- 어플레이어


- 인프라는 과거와 동일 (은행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은행을 위한 내부 플랫폼)


- SWIFT를 탈중앙화로 대체(대표적으로 AirBnB는 2008년 8월 시작된 세계 최대의 숙박 공유 서비스이다. 자신의 방이나 집, 별장 등 사람이 지낼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임대할 수 있다. 실제로 이용자는 자신의 화폐로 지불하고, 제공자에게는 또 환전해서 그 나라의 화폐로 지급해준다. 때문에 1년에 100억원 이상을 이 환전하는 수수료로 소모하고 있다고 한다.)


-인프라 리셋(인프라를 보았을 때 Application Service는 데이터베이스 같이 하위 계층은 너무 노후화 되어있어서 이 하위 계층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리셋하고자 한다.)


- Ripple은 무료 Paypal이라고 한다.


○ Ripple의 시사점


- 은행은 미래에 여전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여전히 힘을 행사할 것인가? (현재는 신뢰받는 제 3자가 필요할 때가 있지만 미래에도 그럴 것 인가?)

- 은행의 가장 큰 라이벌은 BIG 5와 신기술인가?(Google, Microsoft, Facebook, Apple, Amazon의 결제 시스템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은행들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

- BIG 5 회사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것인가? (Apple Pay 등)

- Ripple의 다른 라이벌은 다른 암호 화폐인가? (무료 PayPa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