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관련 용어 정의
○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거래의 유효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어 정의
- 거래의 weight는 노드가 거래를 발행하기 위하여 투자한 일의 총 량에 비례한다 : 으로 정의
-- Spam 같은 것 불가능 하도록, 엄청 짧은 시간에 특정 Weight 이상의 거래를 많이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 (비트코인처럼 Hash puzzle을 풀어야 함)
- Cumulative Weight : 거래의 Weight + 이 거래를 승인한 모든 거래의 Weight의 합
- Tips : 아직 한 번도 승인되지 않은 거래
- Score : 거래의 Weight + 이 거래가 승인한 모든 거래의 Weight의 합
위 그림에서 X라는 새로운 transaction이 생겼을 때 A와 C 2개의 Tip을 Approve해주고 Tip이 됨 X의 Weight가 3이기 때문에 A와 C의 Cumulative Weight는 3씩 증가하였다.
- Height: genesis 까지 제일 긴 path
-- G has height 1 & D has height 3
- Depth: 임의의 tip까지 가장 긴 path
-- G has depth 4 & D has depth 2
○ Cumulative weight: 거래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척도
○ 각 거래의 weight가 모두 1 이라고 가정함
- Section 4의 일부분 제외
'블록체인 > IO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 the timestamps in the tangle 번역 (0) | 2018.03.12 |
---|---|
In depth explanation of how IOTA making a transaction (0) | 2018.03.08 |
180116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4) (0) | 2018.01.16 |
180115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3) (2) | 2018.01.15 |
180111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