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A란 무엇인가? - IOTA 개요 / 작동원리 / 안정성
https://www.youtube.com/watch?v=nd9W5TStxNo
위 링크로 들어가면 해당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본문 내용은 위의 강의를 들으면서 저 스스로 정리한 공부 노트입니다.
The Tangle
Tangle은 IOTA의 기본구조이다. 블록체인은 아니지만 분산화된 장부(Distributed Ledger)중의 하나이다.
확률 모형으로 이 네트워크가 언제 안전한지에 대해 공부하는 내용을 다루도록한다.
1. 개요
○ 블록체인 기반 구조에서 거래를 진행할 때 이 거래를 승인해서 블록에 등록해주는 블록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fee를 줘야 하고 이 fee가 높을 수록 승인이 빠르게 진행된다.
○ 이를 Heterogeneous Nature 때문이라고 하는데 Heterogeneous Nature란, 이렇게 거래를 발행하는 사람과 거래를 승인하는 사람이 분리되어있는 환경을 말한다.
○ IOTA에는 Micropayments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Heterogeneous Nature를 없애 Transaction fee를 없앴다. Micropayments의 제약은 내가 거래를 발행하기 전에 먼저 거래를 승인해줘서 fee를 없애야 한다.
○ 기본적인 구조
- Direct Approved & Indirect Approved 라는 2가지 승인이 존재한다.
ex) A는 D와 B를 확인해준다. D는 Genesis를 Approve 한다. 이런것이 Direct Approve이고 A는 Genesis를 Indirect하게 Approve한다.
- 노드들의 네트워크와 거래들의 네트워크를 따로 보아야 한다. 위의 그림은 거래들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Tangle이다. 블록체인에서는 블록 안에 여러개의 거래가 들어가지만 여기서는 노드 1개에 거래 1개이다. Tangle에서는 이를 Site라고 한다.
- 꼭 그렇지는 않다고 한다. 위 영상에서 설명하시는 분이 이해한 바로는 제네시스 사이트는 발행할 때 토큰들을 발행하고 나중에는 더 이상 토큰을 발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founder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트랜잭션들을 포함한다.
- 거래들은 본인만의 Weight를 가진다. Weight는 뒤에 자세한 설명이 나올 예정이다.
○ 메인 아이디어
- 노드는 2개의 다른 거래들을 승인해주어야 한다.
- 노드는 2개의 트랜잭션이 Conflict한지 체크하고 Conflict하다면 approve하지 않는다.
- 비트코인처럼 Hash Puzzle을 풀어야 노드는 유효한 거래를 발행할 수 있다.
○ The network is asynchronous
- Conflict 한 거래가 있을 경우 누가 고아블록이 될 지 결정해야함: "tip selection algorithm" (뒤에 설명)
- Section 2. Notations
- Section 3. Stability
- - 3.1 How fast does the cumulative weight typically grow?(얼마나 빠르게 신뢰도가 향상되는가?)
- Section 4. Possible attack scenarios
- - 4.1 A parasite chain attack and new tip selection algorithm
- - 4.2 Splitting Attack
- Section 5. Resistance to quantum computations
이어서 Section 2로 진행할 예정
'블록체인 > IO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 the timestamps in the tangle 번역 (0) | 2018.03.12 |
---|---|
In depth explanation of how IOTA making a transaction (0) | 2018.03.08 |
180116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4) (0) | 2018.01.16 |
180115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3) (2) | 2018.01.15 |
180112 블록체인 공부 IOTA란 무엇인가? 를 보고 (2) (0) | 2018.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