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Ripple

180130 Ripple이란? (1)리플 개요

KimLinear 2018. 1. 30. 16:46

리플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 Blockchainers에서 강의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를 해보도록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2cvBwd-OIdw 에서 해당 강의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1) Ripplepay


○ 2004년 Ryan Fugger에 의해 개발된 하왈라 시스템이다.


- 하왈라 시스템은 아는사람의 아는사람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종의 무슬림 P2P네트워크이다. 위의 그림으로 설명한다. 파란선은 신뢰나 정보, 붉은선은 돈을 의미한다.


1 - A라는 사람이 다른 지역에 있는 B에게 돈을 송금하기 위해 X라는 중개인에게 돈을 주고 암호를 알려준다.

2a - A는 B에게 암호를 알려주고 중계인에게서 돈을 가져가라고 한다.

2b - 중계인 X는 해당 지역의 중계인 M에게 B라는 사람이 와서 해당 암호를 얘기하면 얼마를 내어주라고 전달한다.

3a - B는 M에게 가서 암호를 얘기하고 돈을 요구한다.

3b - M은 B에게 돈을 주고 장부에 기록한다. 나중에 X에게 돈을 받는다.


○  이 과정에서 거래 장부만 기록되지 실제 다른 지역에게 현물이 전달되지는 않는다.


○ 탈중앙화(내 지역사람만 믿으면 됨), 확장성 보장(사람이 더 늘어날 수록 확장됨), P2P 신뢰모델(작은 신뢰들이 쌓여서 큰 신뢰를 구축함)이다.


○ SNS처럼 사용자의 수에 따라 성공하는 모델이다.



(2) Ripple


○ Jed McCaleb(eDonkey, Mt.Gox, Stellar), Arthur Britto, David Schwartz, Chris Larsen 4명에 의해 주로 개발


○ 비트코인 같이 채굴에 의한 합의가 아닌 네트워크간 합의에 의한 화폐 시스템


○ 중앙 거래소 의존 감소, 전기 절약, 비트코인보다 빠른 거래속도가 장점이다.


○ RTXP, Ripple Labs, XRP 등으로 은행이 비트코인과 경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 및 전자 자산(비트코인과 비교해서 은행의 경쟁성이 너무 없어 보였다고 한다.)


- RTXP : Ripple Transaction Protocol

- Ripple Labs : 회사 이름

- XRP : RTXP 위의 토큰, 실제로 거래되는 화폐를 의미



○ 리플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 결제 스택(제일 위에 Application Layer부터 결제가 이루어지는 절차)이 너무 복잡


- 가치가 정보같이 이동할 수 있나?


- 어플레이어


- 인프라는 과거와 동일 (은행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은행을 위한 내부 플랫폼)


- SWIFT를 탈중앙화로 대체(대표적으로 AirBnB는 2008년 8월 시작된 세계 최대의 숙박 공유 서비스이다. 자신의 방이나 집, 별장 등 사람이 지낼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임대할 수 있다. 실제로 이용자는 자신의 화폐로 지불하고, 제공자에게는 또 환전해서 그 나라의 화폐로 지급해준다. 때문에 1년에 100억원 이상을 이 환전하는 수수료로 소모하고 있다고 한다.)


-인프라 리셋(인프라를 보았을 때 Application Service는 데이터베이스 같이 하위 계층은 너무 노후화 되어있어서 이 하위 계층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리셋하고자 한다.)


- Ripple은 무료 Paypal이라고 한다.


○ Ripple의 시사점


- 은행은 미래에 여전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여전히 힘을 행사할 것인가? (현재는 신뢰받는 제 3자가 필요할 때가 있지만 미래에도 그럴 것 인가?)

- 은행의 가장 큰 라이벌은 BIG 5와 신기술인가?(Google, Microsoft, Facebook, Apple, Amazon의 결제 시스템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은행들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

- BIG 5 회사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것인가? (Apple Pay 등)

- Ripple의 다른 라이벌은 다른 암호 화폐인가? (무료 PayPal)